천일여행 595일째, 2017년 2월 4일(토) 한국/인천공항, 용인수지
애틀랜타를 출발한 비행기는 북서쪽으로 방향을 잡아 캐나다. 알라스카를 지나면서
러시아를 향해 쪽으로 가다 중국에 들어서 남쪽으로 방향을 잡아 내려와 인천 공항에 도착했다.
도착하시 40분 전 도착안내방송에서 현지시각은 2월 4일 토요일 오후 네 시 몇 분
현지 기온은 섭씨 7도, 구름이 많은 편이라고 하였다.
비행기에서 내려 청사로 가는 길에 트램을 탄다.
예전에는 그런 기억이 없다하며 이동해서 입국심사장에 다다랐을 때가 다섯 시 삼십 분경
국적을 바꾸고 매 번 느끼는 감정이지만 ‘외국여권’ 줄에 서는 것이 생소하다.
긴 줄의 꽁무니에 자리하여 따른지 얼마 되지 않아 내 뒤 줄줄이 꼬리가 늘려가는 데
절반 이사이 사람들이 중국말을 쓰고 백인처럼 보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러시아 말 같다.
입국심사에서 지문을 찍으라 하는 것도 생소하면서도 내가 국적이 한국이 아니라는 것을 재확인,
가방을 찾고 용인행 공항버스 타는 곳에 도착하니 한 대가 서 있다.
표를 사는데 내가 내려야 하는 곳이 긴가민가 하다.
“어디까지 가세요?”
“수지의 무슨 공사인데요?”
“지역난방공사요? 칠천칠백 원입니다.
카드를 내니 외국카드라 안 된다며 현금을 내란다.
애틀랜타를 떠날 때 가지고 있었던 만 오천 원이 있었지만
집을 찾고 마지막 문을 나설 때 은행창구에서 오백 달러를 환전했는데 딱 오십오만 원이었다.
만 원짜리 지폐를 내자 표와 거스름 돈을 주면서
“저 앞에 보이는 7번 타는 곳에 지금 버스가 출발하려고 하니 얼른 가서 타시고
만일 버스가 떠났으면 다시 와서 표를 바꾸라“고 한다.
서둘러 버그타는 곳을 갔지만 버스가 막 떠나면서 손을 흔들어도 매정할 정도로 그냥 간다.
다시 표 파는 곳으로 와서 표를 바꾸는데 여섯 시 십오 분 출발 하는 승차권으로 바꿔준다.
7번 타는 곳에 줄을 서서 있는데 버스에 가방을 실어주는 도우미가 내 앞에 있는 노부부에게
“여기 계시면 추우니 저 안에 계시다가 버스가 오면 나오세요”
노부부는 뭔가 걱정스럽다는 듯이 바라보자
“걱정하지 마세요. 지정석이라 버스가 도착해서 줄을 서도 안 늦어요”
그 때서야 손에 쥐고 있는 승차권을 보니 좌석번호가 있었다.
예전에는 그런 경험이 없었기에 당연히 줄 서는 순서대로 아무데나 마음에
드는 곳에 앉으면 되는 것으로 알았던 거다.
그 때서야 정신을 차리면서 차가운 바람의 한기가 느껴진다.
버스를 타고 한 참을 졸고 있는데 방향트는 느낌이 들어 물기를 잔뜩 머금은 유리를
커튼으로 닦으니 벌써 고속도로를 빠져 나가야 하는 동수원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내리는 곳에 도착해 짐을 꺼내고 시간을 보니
금요일 오후인데도 한 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어머님 집에 도착, 기우뚱하며 다리를 저는 어머님이 반갑게 맞이한다.
“추운데 먼 길 오느라 고생이 많았다”하면서 나도 감당하기 쉽지 않은 큰 가방을 빼앗으려 한다.
“이거 어머님 안 돼요, 제가 할 게요”
가방을 집 안에 끌어 들이고서야 어머님과 포옹하며 재회의 반가움을 나눈다.
출발하기 전 어머님과 통화할 때 혹여나 하는 마음으로 저녁 준비 많이 하지 말라고 했었다.
금요일 저녁 도로가 밀려 늦을 것 같기도 하고 그럼 저녁 먹고 자는 게 속에 부담되어
힘들어 할 것 같고 많이 먹지 않은 것을 준비하는 어머님의 수고를 덜고자 당부했었다.
“애비가 밥하지 말라고 해서 죽을 끓였다”
그 때만 해도 그냥 죽으로 알고 “에이 누룽지 한 그릇이면 되는데요”
“혼자 사는 노인네가 누룽지가 어디 있니? 낮에 모란 장에 얼른 다녀왔다”
그 때서야 그냥 죽이 아니라 닭백숙인 것을 알게 되었다.
설에 만든 우리 집 특유의 소 허파로 만든 전은 물론 대구 전과 동그랑땡,
김치에 물김치, 브로커리 삶은 것에 당근, 그리고 미나리를 데쳐 동그랗게 만 것은
주로 야채를 많이 먹는 나에 대한 아주 특별한 배려다.
샤워를 하고 먹을까 하다가 틀림없이 저녁도 안 먹고 기다린 어머님을 생각해서
테이블에 마주 앉아 어머님의 성의에 장단을 맞춰야 하는 마음에 닭다리 하나까지 먹었다.
샤워까지 마쳤을 때 많이 먹은 부담감에도 고단함이 밀려와 몽롱해진다.
어머님 가장 가까운 친구인 TV를 함께 보면서 앉아 있는데 몸이 자꾸 무너져 내리는 것 같다.
결국 아홉 시 조금 전에 “어머님 저 잘께요”하면서
어머님이 미리 봐놓은 잠자리에 오랜만에 느끼는 묵직한 솜 이블 속으로 몸과 마음을 숨긴다.
오늘 하루도 이렇게 보낸다.
오늘도 무지 좋은 하루 ······
'천일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일여행 597일째, 2017년 2월 6일(월) 용인·수지/맑음 (0) | 2017.02.07 |
---|---|
천일여행 596일째, 2017년 2월 5일(일) 용인·수지/흐림, 눈 비 (0) | 2017.02.06 |
천일여행 594일째, 2017년 2월 3일(금) 애틀랜타/흐림 (0) | 2017.02.05 |
천일여행 593일째, 2017년 2월 2일(목) 애틀랜타/맑음 (0) | 2017.02.03 |
천일여행 592일째, 2017년 2월 1일(수) 애틀랜타/맑음 (0) | 2017.02.02 |